본문 바로가기
카메라

렌즈 교환식 디지털 카메라? 니콘 Z 마운트? 화소수? 촬상소자(CMOS 센서)란?

by ggidalsoo(찌달수) 2025. 3. 12.
728x90
반응형


렌즈 교환식 디지털 카메라?

렌즈 교환식 디지털 카메라(Interchangeable Lens Camera, ILC)는 말 그대로 렌즈를 교환할 수 있는 카메라를 말해. 대표적으로 DSLR(Digital Single-Lens Reflex) 카메라미러리스(Mirrorless) 카메라가 있어. 이 카메라는 촬영 목적이나 상황에 따라 다양한 렌즈를 사용할 수 있어서 창의적인 촬영이 가능해.

반면, 렌즈 교환식이 아닌 카메라도 있어. 이런 카메라는 일체형 렌즈 카메라(Compact Camera) 또는 고정렌즈 카메라(Fixed-Lens Camera)라고 부르는데, 렌즈를 바꿀 수 없고 본체에 렌즈가 고정되어 있어. 대표적으로 하이엔드 카메라(브릿지 카메라)나 컴팩트 카메라(똑딱이), 그리고 스마트폰 카메라도 이에 해당해.

렌즈 교환식 카메라는 다양한 렌즈를 활용할 수 있어서 풍경, 인물, 접사 등 원하는 스타일로 촬영할 수 있고, 센서 크기도 커서 화질이 뛰어나. 대신 가격이 높고 렌즈를 추가로 구매해야 하는 부담이 있어. 반대로 렌즈 교환이 안 되는 카메라는 휴대성이 좋고 사용이 간편하지만, 촬영의 자유도가 제한될 수 있어.


렌즈 마운트: 니콘 Z 마운트 ?

렌즈 마운트는 카메라 본체와 렌즈를 연결하는 결합부를 의미해. 쉽게 말해, 카메라에 맞는 렌즈를 장착할 수 있도록 제조사에서 정한 표준 규격이야.

니콘 Z 마운트니콘 미러리스 카메라 전용 마운트야. 니콘이 기존 DSLR용 F 마운트와 다르게, 미러리스 전용으로 개발한 마운트인데,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아

🔹 마운트 지름이 큼 (55mm) → 더 넓은 입사광을 받을 수 있어, 광량이 많아지고 화질이 좋아짐.
🔹 플랜지 백이 짧음 (16mm) → 렌즈와 센서 간 거리가 짧아져, 더 작은 크기의 렌즈를 설계할 수 있음.
🔹 광학적 자유도가 높음 → 주변부까지 선명한 화질을 구현할 수 있어, 특히 밝은 조리개의 렌즈 개발에 유리함.

즉, 니콘 Z 마운트 카메라에는 Z 마운트 렌즈만 장착할 수 있어. 다만, 어댑터(FTZ 어댑터)를 사용하면 기존 DSLR용 F 마운트 렌즈도 사용할 수 있지.


📸 화소란?

화소(Pixel)는 이미지 센서를 구성하는 가장 작은 단위의 점이야. 쉽게 말해, 사진을 이루는 조각이라고 보면 돼.

🔍 총 화소수 vs. 유효 화소수 차이

  • 총 화소수(2528만 화소) → 이미지 센서가 가진 전체 픽셀 수
  • 유효 화소수(2450만 화소) → 실제 촬영에 사용되는 픽셀 수

총 화소수보다 유효 화소수가 적은 이유는 센서 주변부 일부 픽셀이 촬영이 아닌 보정이나 데이터 처리 등에 사용되기 때문이야. 예를 들어, 이미지 안정화, 노이즈 제거 등을 위해 일부 픽셀이 활용되면서 실제 사진에 반영되지 않는 거지.

📊 화소수가 높으면 좋은 점

해상도가 높아짐 → 사진을 크게 인화하거나 크롭(잘라내기)해도 선명도가 유지됨
디테일 표현이 뛰어남 → 작은 부분까지 정밀하게 표현 가능
후보정 자유도 증가 → 크롭, 확대, 보정 시 화질 손상이 적음

하지만 단점도 있어!
❌ 화소 수가 높아질수록 개별 픽셀 크기가 작아지면 저조도(어두운 환경)에서 노이즈가 증가할 수 있음
파일 용량 증가 → 고해상도 사진은 저장공간을 많이 차지하고, 처리 속도가 느려질 수 있음

🔢 2450만 화소, 어느 정도야?

보통 이상, 꽤 좋은 수준!
웹용, 인스타, 블로그 → 아주 충분
A3~A2 크기 인화 → 문제 없음
크롭 여유 있음 → 원하는 부분을 잘라도 충분한 화질 유지
프로 사진가도 많이 쓰는 수준

💡 참고로 스마트폰 카메라가 1억 화소라고 해도, 센서 크기가 작아서 실제 화질은 2450만 화소짜리 풀프레임 또는 APS-C 카메라가 훨씬 뛰어나!


📸 촬상소자(CMOS 센서)란?

촬상소자(이미지 센서)는 빛을 받아들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부품이야. 쉽게 말해, 필름 역할을 하는 부품이지.

  • CMOS 센서 → 전력 소모가 적고 속도가 빠르며, 최근 대부분의 디지털 카메라에 사용됨.
  • CCD 센서도 있었지만, 현재는 거의 CMOS 센서가 대세야.

🔍 35.9 × 23.9mm 사이즈 = 풀사이즈(풀프레임, FX 포맷)

이 숫자는 이미지 센서의 물리적인 크기를 의미해. 35.9 × 23.9mm풀프레임(Full-frame) 센서라고 불려.

풀사이즈(FX 포맷) = 풀프레임(Full-frame)
니콘에서는 FX 포맷이라고 부름

📌 참고로, 풀프레임의 기준은 예전 필름 카메라에서 사용되던 35mm 필름 크기(36×24mm)와 비슷한 크기를 기준으로 정해진 거야.


🏆 풀프레임(FX) vs. 크롭센서(DX, APS-C) 차이

카메라 센서는 크기가 다양한데, 크게 풀프레임(FX)과 크롭 센서(DX, APS-C) 두 가지가 있어.

구분 풀프레임(FX) 크롭 센서(DX, APS-C)
센서 크기 약 36×24mm 약 23.5×15.6mm (니콘 DX 기준)
화질 더 선명하고 디테일이 좋음 화소 수가 같다면 상대적으로 디테일↓
저조도 성능 어두운 곳에서도 노이즈 적음 센서 크기가 작아 노이즈가 증가할 수 있음
심도 표현 (배경 흐림 효과) 더 부드러운 배경 흐림 효과 (얕은 심도) 상대적으로 심도가 깊어짐
렌즈 활용 초점거리 그대로 적용됨 1.5배 크롭됨 (50mm 렌즈 = 75mm 효과)
카메라 가격 더 비쌈 상대적으로 저렴

구분풀프레임(FX)크롭 센서(DX, APS-C)


🔹 풀프레임(FX) 센서가 좋은 이유

✔ 풍경 사진에서 넓은 다이나믹 레인지(명암 표현력)와 높은 화질 제공
✔ 저조도(어두운 환경)에서 노이즈가 적고 선명한 이미지 촬영 가능
✔ 렌즈의 초점거리를 있는 그대로 활용 가능

💡 풀프레임이 항상 좋은 건 아님!
📌 풀프레임 카메라는 크고 무겁고 비쌈
📌 APS-C(DX) 카메라는 더 가볍고 가격이 저렴하면서도 충분한 화질 제공


🧹 더스트 감소 기능이란?

카메라 센서는 매우 민감해서, 렌즈를 교환할 때 먼지가 들어가면 사진에 **검은 점(먼지 얼룩)**이 생길 수 있어. 이를 방지하고 제거하는 기능이 더스트 감소 기능이야.


🔍 각 기능 설명

1️⃣ 이미지 센서 클리닝 (Image Sensor Cleaning)

  • 카메라가 전원을 켤 때 또는 끌 때, 센서가 미세한 진동을 일으켜 먼지를 털어내는 기능이야.
  • 자동으로 작동하거나 메뉴에서 직접 실행할 수도 있음.
  • 하지만 센서에 완전히 붙은 먼지는 제거되지 않을 수도 있어.

2️⃣ 이미지 더스트 오프 데이터 취득 (Image Dust Off Data Acquisition)

  • NX Studio(니콘의 사진 편집 프로그램)를 이용해 센서에 붙어 있는 먼지의 위치를 기록하는 기능.
  • 촬영한 사진을 NX Studio에서 열면, 미리 저장된 먼지 데이터를 참고하여 자동으로 먼지를 제거할 수 있어.
  • 하지만 이 기능은 RAW 파일에서만 작동하고, JPG에서는 사용할 수 없어.

결론: 먼지가 들어가면 어떻게 해야 할까?

기본적으로 이미지 센서 클리닝 기능이 자동으로 먼지를 제거해 줌
NX Studio의 더스트 오프 기능을 활용하면 RAW 파일에서 먼지를 보정할 수 있음
그래도 안 되면 센서 클리닝(카메라 센서 청소)을 직접 하거나 서비스 센터에 맡겨야 함

📌 팁:

  • 렌즈 교환 시 먼지가 들어가지 않도록 빠르게 교체하고, 카메라 마운트를 아래로 향하게 하는 게 좋아!
  • 센서 클리닝으로 해결되지 않는다면 블로워(공기 펌프)를 사용해서 먼지를 날려주는 것도 방법! 😉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