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공유

"마르부르크병, 에볼라만큼 위험하다? 감염 경로부터 증상, 치료법까지"

by ggidalsoo(찌달수) 2025. 2. 26.
728x90
반응형

📢 마르부르크병이란? 감염 경로부터 증상, 치사율, 치료법까지 총정리!

최근 마르부르크병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 병은 에볼라 바이러스와 같은 계열의 바이러스로 인해 발생하며, 치사율이 최대 88%에 달하는 위험한 출혈열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마르부르크병의 감염 경로, 증상, 치사율, 치료법 및 예방법을 상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마르부르크병이란?

마르부르크병(Marburg Virus Disease, MVD)은 필로바이러스(Filoviridae) 계열의 바이러스성 출혈열로, 에볼라 바이러스(Ebola Virus)와 유사한 치명적인 감염병입니다.

📌 마르부르크병의 특징

  • 급성 발열과 심각한 출혈 증상을 유발하는 감염병
  • 사람과 동물(특히 박쥐) 간에 전파 가능
  • 감염 시 심각한 장기 손상 및 다발성 장기 부전을 초래
  • 사망률이 매우 높은 바이러스성 질환

마르부르크 바이러스는 1967년 독일 마르부르크(Marburg) 및 프랑크푸르트(Frankfurt), 그리고 유고슬라비아 베오그라드(Belgrade)에서 처음 발견되었습니다. 당시 연구소에서 일하던 실험실 직원들이 아프리카에서 들여온 녹색 원숭이(Grivet Monkey)의 조직 샘플을 다루다 감염된 것이 원인이었습니다.


2. 마르부르크병의 감염 경로

마르부르크병은 주로 동물에서 인간으로, 그리고 인간 간 전파될 수 있습니다.

1) 동물에서 인간으로 전파

마르부르크 바이러스의 자연 숙주는 이집트과일박쥐(Rousettus aegyptiacus)입니다.

  • 박쥐의 체액(침, 소변, 배설물)에 접촉하면 감염될 수 있음
  • 감염된 동물을 직접 만지거나, 바이러스에 오염된 환경(동굴, 광산 등)에 노출될 경우 감염 위험 증가
  • 위험 동물을 섭취하는 행동

2) 인간 간 전파

마르부르크병은 감염자의 체액과 접촉할 경우 쉽게 전파됩니다.

  • 감염자의 혈액, 타액, 땀, 소변, 대변, 정액, 구토물 등 체액을 통해 감염 가능
  • 의료진이나 가족이 환자를 돌보는 과정에서 감염될 수 있음
  • 장례식에서 감염자의 시신을 직접 만질 경우 감염 위험 증가

⚠️ 단, 공기를 통한 감염(비말 감염)은 보고된 바 없습니다.


3. 마르부르크병의 증상

마르부르크병의 잠복기가 존재하며 이후 급성 증상이 나타납니다.

✅ 초기 증상 (감염 후 2~5일 내 발현)

  • 갑작스러운 고열 (39~40도 이상)
  • 극심한 두통근육통
  • 전신 쇠약감 및 피로
  • 오한과 발한(땀이 많이 남)

✅ 중증 단계 (감염 후 5일 이후)

  • 심각한 구토 및 설사 (탈수 위험)
  • 복통과 경련
  • 출혈 증상 (코피, 잇몸 출혈, 피부 출혈, 내출혈)
  • 간 및 신장 기능 저하
  • 신경계 이상 (섬망, 경련, 혼수상태)

⚠️ 특히 출혈이 심해지면 눈, 귀, 피부, 장기에서 피가 나오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음.


4. 마르부르크병의 치사율은 얼마나 될까?

마르부르크병은 치사율이 매우 높은 바이러스성 감염병입니다.

  • WHO에 따르면 **치사율은 23~88%**로 보고됨
  • 의료 환경 및 치료 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음
  • 신속한 치료를 받지 않으면 중증 환자의 생존율이 급격히 낮아짐

📌 역대 주요 마르부르크병 발병 사례

1967년 독일, 유고슬라비아 31명 23%
1998~2000년 콩고민주공화국 154명 83%
2005년 앙골라 374명 88%
2023년 적도 기니, 탄자니아 16명 100% (확진자 전원 사망)

발생 연도지역감염자 수치사율


5. 마르부르크병의 치료법은?

현재까지 마르부르크병에 대한 특정 치료제나 백신은 없습니다.

📌 치료 방법 (대증요법)

  • 수액 공급 및 전해질 보충 (탈수 방지)
  • 산소 공급 및 혈압 유지
  • 이차 감염 예방을 위한 항생제 투여
  • 출혈 관리 및 신장 보호 치료

현재 마르부르크 바이러스 백신 및 항바이러스 치료제가 연구 중이지만, 아직 승인된 치료법은 없습니다.


6. 마르부르크병 예방 방법

마르부르크병은 예방이 가장 중요합니다.

예방 수칙

  • 박쥐 서식지(동굴, 광산 등) 방문 자제
  • 야생동물(원숭이, 박쥐) 접촉 금지
  • 감염 환자와의 직접 접촉 피하기
  • 의료진은 보호 장비(PPE) 착용 필수
  • 손 씻기 및 위생 관리 철저히 하기

특히 마르부르크병이 발생한 지역을 방문할 경우 출혈열 관련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병원에 가야 합니다.


📢 마무리

마르부르크병은 치명적인 바이러스 감염병으로, 치사율이 매우 높으며 치료제가 없는 위험한 질병입니다.

✔️ 주된 감염 경로는 박쥐 및 감염자 체액 접촉
✔️ 초기 증상은 고열, 두통, 구토, 출혈 증상
✔️ 현재 치료제와 백신은 없으며, 대증 치료만 가능
✔️ 예방을 위해 위생 관리와 동물 접촉 주의

 

위험 지역 방문을 피하고 의심 증상 발생 시 즉시 병원을 방문하셔야 합니다.

https://ggidalsoo.tistory.com/22

 

"상처 봉합 후 관리 방법 총정리! 샤워, 운동, 재봉합 여부까지"

📄 봉합 후 상처 관리 및 주의사항 총정리!봉합 후 상처 관리는 올바른 치료 과정 중 하나로, 감염을 방지하고 빠른 회복을 돕기 위해 반드시 신경 써야 합니다. 적절한 소독, 생활 습관, 약물 복

ggidalsoo.tistory.com

https://ggidalsoo.tistory.com/21

 

요로결석 제거 수술 후 소변줄에서 피가 나오는 이유와 기간

요로결석 제거 수술 후 소변줄(도뇨관)을 통해 소변에 피가 섞여 나오는 현상은 많은 환자들이 경험하는 일반적인 증상입니다. 특히 수술 후 첫 며칠 동안은 소변에 피가 보이는 것이 정상적일

ggidalsoo.tistory.com

https://ggidalsoo.tistory.com/20

 

전신마취 후 소변이 안 나와요. 소변이 안 나오는 이유와 해결 방법

전신마취 후 소변이 안 나올 때, 원인과 대처법수술 후 전신마취에서 깨어난 뒤 소변이 잘 나오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는 비교적 흔한 현상이지만, 방치하면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

ggidalsoo.tistory.com

https://ggidalsoo.tistory.com/19

 

하반신 마취를 할 예정이라면 꼭 읽어 보셔야 합니다! 장점과 단점 및 부작용 총 정리

#하반신 마취란? 하반신 마취는 신경 차단을 통해 허리 아래 부분의 감각과 운동 기능을 일시적으로 마비시키는 마취 방법입니다. 주로 수술 시 통증을 차단하거나 분만 시 통증을 완화하기 위

ggidalsoo.tistory.com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