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공유

의학용어 VN(vestibular neuritis) 전정신경염 원인부터 치료까지 – 어지럼증의 원인과 극복 방법 총정리"

by ggidalsoo(찌달수) 2025. 5. 16.
728x90
반응형

출처 : 서울아산병원

🌀 전정신경염이란?

전정신경염(vestibular neuritis)은 귀 속 전정신경(몸의 균형을 감지하는 신경)에 염증이 생겨 발생하는 급성 어지럼증 질환입니다. 갑자기 발생하는 심한 어지럼증으로 응급실을 찾는 경우가 많습니다.


🔍 전정신경염의 원인

정확한 원인은 아직 명확하지 않지만, 다음과 같은 원인들이 주요하게 거론됩니다.

  • 바이러스 감염: 특히 **헤르페스바이러스(Herpes Simplex Virus type 1, HSV-1)**가 재활성화되어 전정신경에 염증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상기도 감염 후 발생
  • 스트레스, 면역력 저하
  • 드물게 자가면역 반응

⚠️ 전정신경염의 주요 증상

가장 흔한 증상은 갑작스럽고 강한 회전성 어지럼증입니다. 그 외에도 다음 증상들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 구역질, 구토
  • 안진(nystagmus): 눈동자가 무의식적으로 빠르게 움직이는 현상
  • 균형 감각 소실
  • 청력 저하는 일반적으로 없음 → 청력 저하가 있다면 메니에르병 등 감별 필요

가장 흔한 증상은? → 강한 회전성 어지럼증 + 구역질/구토


🧬 병태생리

전정신경염은 전정신경 자체에 염증이 생기면서 전정신호 전달이 차단 또는 왜곡되어 발생합니다.
한쪽 귀에서 오는 전정 신호가 감소하면, 양쪽 신호의 불균형이 생겨 중추신경계가 회전으로 인식, 어지럼증을 유발합니다.


🧪 진단방법 및 검사법

전정신경염 진단은 주로 임상 증상과 이학적 검사에 기반합니다.

주요 진단법:

  • Head Impulse Test (HIT): 머리를 빠르게 움직일 때 안구의 반응을 보는 검사
  • 눈 움직임 검사 (안진 확인)
  • 로무베르크 검사: 눈을 감고 서 있을 때 균형 유지 여부 확인

필요시 시행하는 검사:

  • MRI: 뇌졸중 등 중추성 원인 감별
  • 청력검사: 청력 손상이 동반되었는지 확인 → 메니에르병과 감별
  • 혈액검사 (보조적)

⚠️ 중요: 뇌경색(소뇌)과 증상이 유사하므로 반드시 감별 필요


💉 혈액검사 결과에서 주의할 수치

전정신경염 자체로는 특이적인 혈액검사 수치는 없습니다. 그러나 바이러스 감염을 의심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변화가 있을 수 있습니다:

  • 백혈구(WBC): 경미한 증가 가능
  • CRP/ESR(염증 수치): 대부분 정상이나, 드물게 증가
  • 전해질 이상: 구토 지속 시 탈수 → 나트륨(Na) 감소 가능

💊 치료 방법과 사용 약물

전정신경염은 시간이 지나면서 대부분 자연 회복되지만, 초기 증상 완화를 위한 약물 치료가 필요합니다.

급성기 치료:

  • 항히스타민제: 메클리진(Meclizine), 디멘히드리네이트(Dimenhydrinate)
  • 항구토제: 메토클로프라미드(Metoclopramide), 온단세트론(Ondansetron)
  • 스테로이드: 경구 프레드니솔론(Prednisolone) – 회복을 촉진할 수 있음 (논란 있음)
  • 항바이러스제: 헤르페스 의심 시 아시클로버(Acyclovir) 사용 고려

⚠️ 약물은 초기 1~3일 이내에 단기 사용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 회복과 예후

  • 대부분 수일~수주 내 증상 호전
  • 전정 보상(Vestibular compensation)을 통해 중추신경계가 적응
  • 일부 환자에서는 잔여 어지럼증이 수개월 지속될 수 있음

예후는 전반적으로 양호하며, 뇌졸중이 아닌 경우 대부분 후유증 없이 회복됩니다.


❗ 관련 질환 및 감별 진단

전정신경염과 유사한 증상을 나타내는 질환은 다음과 같습니다:

  • 소뇌경색
  • 메니에르병 (어지럼증 + 이명 + 청력 저하)
  • 양성돌발성체위현훈(BPPV)
  • 전정편두통
  • 다발성 경화증(MS) – 드물지만 전정 증상 유발 가능

🔥 악화 요인

  • 과도한 스트레스
  • 면역력 저하
  • 수면 부족
  • 탈수 또는 음주
  • 전정 재활운동 부족

⚠️ 고위험군

전정신경염은 누구나 걸릴 수 있지만, 다음과 같은 경우 위험이 더 높습니다:

  • 최근 바이러스 감염 이 있었던 사람
  • 면역력이 약한 사람
  • 중년~노년층
  • 만성 스트레스, 불면증 환자

🧘 회복 후 관리법

  • 전정재활운동: 눈-머리 협응 훈련, 균형 유지 운동 등이 중추 보상을 돕습니다.
  • 충분한 수면과 수분 섭취
  • 카페인과 음주 제한
  • 스트레스 관리

https://ggidalsoo.tistory.com/326

 

복막투석의 종류 총정리|CAPD vs APD 차이점과 선택 가이드

📌 복막투석이란?**복막투석(Peritoneal Dialysis, PD)**은 신장 기능이 저하된 환자가 복막을 여과막으로 활용해 노폐물과 수분을 제거하는 치료 방법입니다. 복막 안에 투석액을 주입하고 일정 시간

ggidalsoo.tistory.com

https://ggidalsoo.tistory.com/325

 

왜 중심정맥관(C-line)은 주로 오른쪽에 삽입할까? 해부학적 이유와 안전성 분석

중심정맥관(Central line, C-line)은 약물 투여, 정맥압 측정, 장기적인 수액 공급 등이 필요한 환자에게 사용하는 중요한 의료 시술입니다.그런데 이상하게도 대부분의 경우, 오른쪽에 중심정맥관을

ggidalsoo.tistory.com

https://ggidalsoo.tistory.com/324

 

✅ "스페이스바 누를 때 한글이 영어로 바뀌는 현상 해결하기"

글자 치다 영어로 바뀌는 이유는 무엇일까? 🤔한글로 열심히 타이핑하다가 갑자기 영어로 바뀌는 경험, 정말 당황스럽죠.이 문제는 주로 다음과 같은 이유로 발생합니다.1. 입력 언어 전환 단축

ggidalsoo.tistory.com

https://ggidalsoo.tistory.com/323

 

"실리콘 오일 제거 수술 후 주의사항과 시기. 시력 회복 가능성 총정리!"

🦉 실리콘 오일 제거 수술이란?실리콘 오일 제거 수술은 망막박리 등으로 인해 눈 속에 삽입된 실리콘 오일을 일정 시간이 지난 뒤 제거하는 수술입니다.실리콘 오일은 망막을 눌러 고정하는

ggidalsoo.tistory.com

https://ggidalsoo.tistory.com/322

 

"눈앞이 번쩍? 빛번짐 증상과 비문증? 망막박리 의심해야 할 때"

👁️ 망막박리(retinal detachment) │ 원인부터 치료까지 완벽 가이드망막박리는 눈 안쪽에 위치한 망막이 본래 자리에서 떨어지는 질환으로, 치료가 늦어질 경우 영구적인 시력 손상으로 이어질

ggidalsoo.tistory.com


✍️ 마무리

전정신경염은 갑작스러운 어지럼증으로 일상을 크게 방해할 수 있지만, 대부분은 비교적 예후가 좋은 질환입니다. 중요한 것은 뇌졸중과의 감별 진단, 그리고 초기 약물 치료와 전정 재활운동입니다.

혹시 계속 어지럼증이 지속되거나, 말이 어눌해지거나, 팔·다리에 힘이 빠지는 증상이 동반된다면 반드시 뇌신경과 또는 응급실 진료가 필요합니다.


필요하시면 전정 재활운동에 대한 설명, 환자 교육용 요약본, BPPV(이석증)와의 차이점 정리도 추가로 드릴 수 있습니다.
더 필요한 정보나 편집 요청이 있다면 말씀해 주세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