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금 흐름(Cash Flow)이란?
💡 **"돈이 실제로 들어오고 나가는 흐름"**을 말해요.
- 단순히 회계상 수익이 아니라,
현금이 실제로 들어왔는지/나갔는지를 따지는 것이에요.
- 아무리 매출이 커도, 실제로 돈이 안 들어오면 망할 수 있습니다.
📦 예를 들어 볼게요
상황 |
회계상 수익 |
현금 흐름 |
A가 1,000만 원짜리 물건을 팔았지만, 3개월 뒤에 받기로 함 |
✔️ 수익 1,000만 원 |
❌ 지금 현금 없음 |
B가 500만 원짜리 물건을 팔고 즉시 현금으로 받음 |
✔️ 수익 500만 원 |
✔️ 현금 들어옴 |
📌 현금 흐름이 중요한 이유
이유 |
설명 |
🏦 부도 방지 |
이익은 있어도 돈이 없으면 급여나 대출이자 못 내서 망할 수 있어요 |
💸 배당 가능성 |
현금 흐름이 좋아야 배당금도 줄 수 있어요 |
🧾 투자 여력 |
현금이 있어야 설비 투자나 연구 개발도 할 수 있어요 |
📉 기업 건전성 판단 |
재무제표의 '현금 흐름표'는 기업의 실속을 보여주는 핵심 지표예요 |
그럼 상장한 기업과 비상장 기업들의 현금 흐름을 알 수 있는 방법은 뭐야?
✅ 상장 기업의 경우:
현금 흐름 파악 가능! 아주 쉽고 투명하게 알 수 있어요.
🔍 방법 1: 전자공시시스템(DART) 이용
👉 보는 순서:
- DART 접속
- 기업명(예: 삼성전자) 검색
- 사업보고서 또는 분기보고서 클릭
- 재무제표 > 연결/별도 현금흐름표 확인
🔍 방법 2: 네이버 금융, 인포스탁 등
❌ 비상장 기업의 경우:
현금 흐름 정보 파악이 어렵습니다.
이유:
- 의무 공시 대상이 아님 → 기업이 공개하지 않으면 알 방법 없음
- 공시를 하더라도 아주 간략한 수준의 정보만 나옴
- 일부 큰 비상장 기업 (예: 카카오페이 비상장 시절)은 투자자 유치 시 자료를 제한적으로 공개하기도 함
예외적으로 알 수 있는 경우:
경우 |
설명 |
📝 중소기업청 등록된 재무제표 열람 |
일부 중소기업은 세무신고용 재무정보를 등록함 (제한적) |
💼 직접 투자자이거나 관계자일 때 |
스타트업 투자자(LP) 등은 IR자료나 내부 보고서로 알 수 있음 |
📊 신용평가사 리포트 |
NICE, KIS 등에서 일부 비상장 기업 재무정보 제공 (유료/제한적) |
💡 요약
구분 |
현금 흐름 알 수 있나? |
방법 |
상장 기업 |
✅ 거의 대부분 가능 |
DART, 네이버 금융, 인포스탁 등 |
비상장 기업 |
❌ 매우 제한적 |
IR자료, 내부 보고서, 일부 등록기업 공개 자료 |
현금흐름을 알기위해 너가 DART에 접속해서 분기 보고서를 보라해서 봤거든? 근데 거기 연결 재무제표를 보니 항목이 엄청 많더라고.. 영업활동현금흐름,영업에서 창출된 현금흐름, 분기순이익, 조정 (주24), 영업활동으로 인한 자산부채의 변동 (주24), 이자의 수취, 이자의 지급,배당금 수입, 법인세 납부액, 투자활동현금흐름, 단기금융상품의 순감소(증가), 단기상각후원가금융자산의 순감소(증가), 단기당기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의 순감소(증가), 장기금융상품의 처분, 장기금융상품의 취득,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의 처분,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의 취득, 당기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의 처분, 당기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의 취득, 관계기업 및 공동기업 투자의 처분, 관계기업 및 공동기업 투자의 취득, 유형자산의 처분, 유형자산의 취득, 무형자산의 처분, 무형자산의 취득, 사업결합으로 인한 순현금유출액, 매각예정분류자산의 처분으로 인한 현금유입액, 기타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출입액, 재무활동현금흐름, 단기차입금의 순증가(감소), 장기차입금의 차입, 사채 및 장기차입금의 상환, 배당금의지급, 자기주식의 취득, 비지배지분의 증감, 외화환산으로 인한 현금의 변동, 현금및현금성자산의 증가(감소), 기초현금및현금성자산, 분기말의 현금및현금성자산까지 이렇게나 많은데 이게 다 무슨의미야? 그리고 개인 투자자의 입장에서 뭐를 중요하게 살펴보면 되는거야?
DART를 활용한 삼성전자 1분기 현금흐름표 중 개인 투자자가 봐야 할 중요한 요소.
🔍 기본 구조: 현금흐름표는 세 부분으로 나뉩니다
- 영업활동 현금흐름 (CFO) – 기업 본업에서 돈을 얼마나 벌었는가?
📌 “영업에서 창출된 현금흐름” = 영업활동현금흐름?
- 거의 같은 의미로 사용됩니다.
기업이 영업활동을 통해 실제로 벌어들인 돈을 말합니다.
- 하지만 DART에서는 이 항목을 조금 더 세분화해서 보여주기도 해요:
- 분기순이익
- 조정 (주24 – 비현금 항목 조정)
- 영업활동으로 인한 자산·부채의 변동 (주24 – 운전자본 변화)
- => 이 3가지를 더해서 최종적으로 **“영업활동현금흐름”**이 나옵니다.
- 투자활동 현금흐름 (CFI) – 설비투자, 자산 매입/매각 등 장기 자산 변화
- 재무활동 현금흐름 (CFF) – 돈을 어떻게 조달하고, 상환하고, 배당했는가?
✅ 개인 투자자 관점에서 중요한 항목 요약
항목 |
의미 |
투자자 입장에서 중요성 |
영업활동현금흐름 |
영업을 통해 실제 벌어들인 현금 |
⭐⭐⭐⭐ 매우 중요 |
영업에서 창출된 현금흐름 |
조정 전 영업이익 기준 현금 |
참고용 |
분기순이익 |
회계 기준의 이익 (현금 아님) |
비교용 (현금흐름과 비교) |
조정 (주24) |
감가상각 등 비현금성 항목 |
참고 (정확한 계산 참고용) |
영업활동으로 인한 자산부채 변동 (주24) |
재고 증가, 외상 매출 등 현금 유동성 변화 |
참고 |
법인세 납부액 |
세금 납부로 나간 현금 |
흐름 이해에 도움 |
🟩 투자활동현금흐름: 장기 자산에 돈 썼는가?
항목 |
의미 |
투자자 관점 |
유형자산의 취득/처분 |
공장, 기계 등 설비투자 |
⭐ 참고 (지속적이면 성장 투자로 볼 수도) |
무형자산의 취득 |
특허, 소프트웨어 등 |
참고 |
금융자산의 취득/처분 |
단기투자/지분 등 |
참고 (본업 외 투자 많은지 체크) |
🟦 재무활동현금흐름: 자금 조달 및 배당
항목 |
의미 |
투자자 관점 |
단기/장기차입금의 증가(감소) |
돈 빌림/상환 |
⭐ 확인 필요 (부채 늘어나면 위험) |
사채 및 장기차입금의 상환 |
돈 갚은 것 |
안정성 확인 |
배당금 지급 |
주주에게 현금 배당 |
⭐⭐⭐ 배당투자자에겐 중요 |
자기주식 취득 |
자사주 매입 |
주가 긍정 요인 |
🔸 최종적으로 봐야 할 것
항목 |
의미 |
투자자 관점 |
현금및현금성자산의 증가(감소) |
전체 현금이 얼마나 늘었나 |
흐름 이해에 도움 |
기초/기말 현금및현금성자산 |
계좌에 실제 있는 현금 |
유동성 판단 가능 |
🎯 요약: 개인 투자자는 여기만 먼저 보세요!
- 영업활동현금흐름이 지속적으로 플러스(+) 인가?
- 순이익과 영업현금흐름이 큰 차이가 있는가?
- 순이익은 흑자인데 현금흐름은 마이너스면 문제 가능
- 투자활동현금흐름이 큰 마이너스면, 성장성 투자인지 확인
- 재무활동현금흐름에서 부채 늘리며 버티는 건 아닌지 확인
- 배당금 지급이 있으면 배당주로 매력 있는지 확인
📌 예시로 정리해볼게요
항목 |
예시 숫자 |
해석 |
영업활동현금흐름 |
+2,000억 |
회사 본업으로 돈 잘 벌고 있음 |
투자활동현금흐름 |
-1,500억 |
설비나 기술투자 중, 성장기업 가능성 |
재무활동현금흐름 |
-500억 |
차입금 상환 중, 재무 건전성 좋음 |
기말현금 |
3,000억 |
충분한 현금 보유 |
이런 흐름이면 매우 긍정적인 기업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