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경색 치료, 혈전 제거술 vs r-tPA 차이점과 효과 비교
뇌경색(허혈성 뇌졸중)은 뇌로 가는 혈관이 막혀 혈류가 차단되는 질환입니다. 치료가 늦어지면 뇌세포가 영구적으로 손상될 수 있으므로 빠른 혈전 제거가 필수적입니다.
뇌경색 치료법 중 하나로 혈전 제거술(Thrombectomy, 기계적 혈전 제거술) 이 있으며, 특정 환자들에게 매우 효과적인 처치로 시행될 수 있으며, r-tPA(혈전 용해제)만으로는 해결되지 않는 큰 혈전( 일반적으로 9mm 이상)이 있을 때, 혈전 제거술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 글에서는 뇌경색 혈전 제거술이 필요한 경우, 시술 방법, 부작용 및 주의사항까지 상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뇌경색 혈전 제거술(Thrombectomy)란?
**혈전 제거술(Thrombectomy)**은 혈관을 막고 있는 혈전을 기계적으로 제거하는 시술입니다.
✅ 뇌경색에서 혈전 제거술이 필요한 이유
- 빠른 혈전 제거로 혈류 회복 → 뇌세포 손상 최소화
- r-tPA(혈전 용해제) 단독 치료로 해결되지 않는 큰 혈전 제거 가능
- 뇌경색 후유증(마비, 언어장애 등) 감소 및 회복 가능성 증가
혈전 제거술은 특히 중대형 뇌혈관(내경동맥, 중대뇌동맥 등)이 막혔을 때 효과적입니다.
2. 뇌경색 혈전 제거술이 필요한 경우 (시술 적응증)
혈전 제거술은 모든 뇌경색 환자에게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특정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 혈전 제거술이 필요한 주요 기준
- 중대형 혈관 폐색 (내경동맥, 중대뇌동맥 M1/M2 부위)으로 인한 급성 허혈성 뇌졸중
- 증상 발생 후 6~24시간 이내
- 최적 치료 시간: 6시간 이내
- 일부 경우, 최대 24시간까지 가능
- CT/MRI 검사에서 이미 손상된 뇌 조직이 광범위하지 않은 경우
- mRS(Modified Rank Scale) 점수가 낮아 회복 가능성이 높은 경우
- r-tPA 치료가 불가능하거나 효과가 부족한 경우
🚨 혈전 제거술이 불가능한 경우
- 출혈성 뇌졸중(뇌출혈)이 있는 경우
- 작은 혈관이 막힌 경우 (소혈관 질환)
- 이미 광범위한 뇌 손상이 발생한 경우
3. 혈전 제거술(Thrombectomy) 방법
혈전 제거술은 비수술적 방법으로 진행되며, 카테터를 이용해 혈전을 직접 제거하는 방식입니다.
🔹 시술 과정
1️⃣ 대퇴동맥(허벅지) 또는 요골동맥(손목)을 통해 카테터 삽입
2️⃣ 조영제를 이용해 혈전이 위치한 뇌혈관을 확인
3️⃣ 혈전 제거 기구를 이용해 혈전을 제거
4️⃣ 혈류가 정상적으로 회복되는지 확인 후 시술 종료
🔹 혈전 제거술의 주요 방법
✅ 스텐트 리트리버(Stent Retriever) 방식
- 스텐트 장치를 혈전 부위에 배치해 혈전을 포획 후 제거
- 대표적인 장비: Solitaire, Trevo
✅ 흡입 혈전 제거술(Aspiration Thrombectomy)
- 특수한 카테터를 이용해 혈전을 진공 흡입 방식으로 제거
- 대표적인 장비: Penumbra 시스템
경우에 따라 두 가지 방법을 병행하여 혈전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도 합니다.
4. 혈전 제거술의 장점과 한계
🔹 혈전 제거술의 장점
✔ 빠른 혈류 회복으로 뇌세포 손상 최소화
✔ 대형 혈전에도 효과적 (r-tPA 단독 치료보다 우수)
✔ 뇌경색 후유증(마비, 언어 장애) 감소 및 회복 가능성 증가
🔹 혈전 제거술의 한계점
❌ 초기 치료 가능 시간이 제한적(최대 24시간)
❌ 출혈, 혈관 손상 등의 부작용 가능성
❌ 숙련된 의료진과 장비가 있는 병원에서만 가능
5. 혈전 제거술의 부작용 및 주의사항
혈전 제거술은 비교적 안전한 시술이지만, 일부 환자에서는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주요 부작용
⚠ 출혈(뇌출혈) 발생 가능
- 시술 중 또는 시술 후 출혈 위험
- 혈압 관리 및 신경학적 상태 모니터링 필요
⚠ 혈관 손상
- 카테터 삽입 과정에서 혈관이 손상될 가능성
⚠ 재발성 혈전 형성
- 혈전이 다시 생길 가능성이 있어 항응고제 또는 항혈소판제 치료 필요
⚠ 뇌부종, 혈관 경련
- 시술 후 일부 환자에서 발생 가능 #뇌경색 #뇌졸중 #혈전제거술 #Thrombectomy #뇌경색치료 #뇌졸중응급치료 #혈관질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