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BiPAP 작동 모드별 환자 적용 기준
모드 | 적용 환자 | 기준 및 상황 | 용 이유 |
S (Spontaneous) | - 자발 호흡 가능한 환자 - 수면무호흡증 - 경증 COPD |
- RR(호흡수) > 12/min - 의식 있음 - ABGA: PaCO₂ ↑ 경증 |
자발 호흡을 지원만 하며 강제하지 않음 → 가장 자연스럽고 편안함 |
T (Timed) | - 자발 호흡 불가능 - 신경근 마비 - 혼수 상태 - 심한 호흡 억제 |
- RR 거의 없음 - ABGA: PaCO₂↑↑, pH↓ - 의식 저하 |
기계가 정해진 호흡수로 호흡 유도 → 생명 유지 목적 |
ST (Spontaneous/Timed) | - 자발 호흡 가능하나 불규칙 - 수면 중 무호흡 - 비정상적 호흡 패턴 |
- RR 불규칙하거나 간헐적 무호흡 - ABGA: CO₂↑, 산소포화도↓ - 수면 중 PaCO₂ 상승 |
자발 호흡 시 보조하고, 무호흡 시 백업 → 안정성과 유연성 모두 |
PC (Pressure Control) | - 중증 COPD - 폐포 과팽창 우려 - 저순응성 폐질환 (예: ARDS) |
- RR 조절 필요 - TV(일회 호흡량) 조절 어려움 - ABGA: PaO₂↓, PaCO₂↑ |
기계가 압력과 시간 제어 → 폐 보호 전략으로 사용 |
AVAPS | - 만성 호흡부전 (예: ALS, 척수손상) - CO₂ 저류 환자 |
- ABGA: PaCO₂↑↑, pH↓ - 자발 호흡 가능하나 약함 - 일관된 분당 환기량 필요 |
목표 환기량을 맞추기 위해 압력을 자동 조절 → CO₂ 제거에 효과적 |
iVAPS | - 자발 호흡 가능하지만 불규칙 - 신경근 질환, 기저 질환 환자 - 호흡 패턴 들쭉날쭉 |
- RR 불규칙 - ABGA: PaCO₂↑, SpO₂↓ 반복 - 치료 중 호흡 변화 많음 |
AVAPS + 똑똑한 호흡 분석 → 호흡 패턴 자동 감지·보정 |
📌 모드 선택 기준 핵심 요약
기준 항목 | 적용 예시 | 관련 모드 |
자발 호흡 여부 | 있음 → S/ST/AVAPS 없음 → T/PC |
S, ST, T, PC |
호흡 불규칙/무호흡 여부 | 수면무호흡, ALS | ST, iVAPS |
PaCO₂ 상승 여부 (CO₂ 저류) | COPD, 근이영양증 등 | AVAPS, iVAPS |
환기량 보장 필요 | 호흡근 약화, 만성 호흡부전 | AVAPS, iVAPS |
폐 과팽창 우려 | COPD, 천식 악화 | PC (압력 제어) |
의식 저하/혼수 | 약물중독, 신경손상 | T 모드 |
순응도 문제 (TV 확보 어려움) | 중증 폐질환 | PC, AVAPS |
✅ 예시 설정 정리
- 모드: ST mode
- IPAP: 8.0 cmH₂O (흡기 시 양압)
- EPAP: 5.0 cmH₂O (호기 시 양압)
- RR (Backup Rate): 15회/분
- Ti (Inspiratory Time): 1.20초
- Trigger sensitivity (Low)
- Rise time: 300 ms
🔍 1. RR 15/min 설정 vs 환자의 실제 호흡수 변화
● 🟢 환자 호흡수가 14~16회/분 (±1~2회)
- 자발 호흡이 대부분 감지되기 때문에 → 기계는 환자에 맞춰 보조만 해요.
- 이 경우 **기계의 RR 설정은 '백업용'**이라 작동 안 할 수도 있어요.
- 즉, 환자 중심 호흡이 유지되며 문제 없음!
● 🟠 환자 호흡수가 8~10회/분 또는 20~22회/분 (±5~7회)
- 🔻 호흡수가 RR보다 느릴 경우 (예: 8~10회)
→ 기계가 백업 호흡을 유도해 설정된 RR인 15회/분을 맞추려 해요.
→ 일부는 기계가 호흡을 대신함 (Timed 모드처럼 동작). - 🔺 호흡수가 더 빠른 경우 (예: 20~22회)
→ 기계는 가능한 한 자발 호흡을 감지하고 맞춰줌.
→ 하지만 너무 빠르면 기계와 비동기화(asynchrony) 발생 가능!
→ 환자는 내쉬고 싶은데 기계는 들이쉬라고 압력을 줌 😓
→ 이때 불편감, 과환기, 알람 등이 발생할 수 있어요.
🕒 2. Ti (Inspiratory Time) 1.20초의 의미
- Ti = 1.20초는
→ 한 번의 흡기(들이쉬는 시간)가 1.2초간 유지된다는 뜻이에요. - 즉, 기계가 IPAP (8.0 cmH₂O 압력)를 1.2초간 유지해줘요.
- 너무 짧으면: 환자 숨이 덜 찬 느낌
- 너무 길면: 환자가 숨 내쉬려는 타이밍과 어긋남 (불편!)
🔸 적절한 Ti 설정 기준:
- 일반 성인: 1.0~1.5초
- 소아: 더 짧게 (~0.7초)
- 환자의 폐 상태나 흐름 곡선(Flow Curve)을 보고 조정
🎛️ 3. Trigger "Low"란?
- Trigger = 기계가 자발 호흡을 감지하는 민감도예요.
- "Low" = 낮은 힘으로도 감지한다는 뜻 (민감도가 높음)
→ 환자가 살짝만 들숨 시도해도 기계가 바로 반응
→ 민감하게 반응해서 편하게 느껴지지만,
너무 민감하면 누설, 움직임, 진동 등에도 오작동 가능
📌 참고로, 보통 민감도는 "High, Medium, Low" 또는 수치 (예: 1~5단계)로 설정 가능해요.
⚡ 4. Rise Time 300의 의미
- Rise Time = IPAP로 올라가는 속도 (압력 상승 시간)
- 300 ms = 0.3초
→ IPAP 압력이 8.0까지 올라가는 데 0.3초가 걸린다는 뜻이에요.
🌀 너무 짧으면:
→ 압력이 갑자기 확 올라가서 불편하고 깜짝 놀람
🌬️ 너무 길면:
→ 들숨이 느려져서 공기가 덜 들어오는 느낌이 들 수 있어요.
성인 기준 일반 설정값은 200~600 ms 사이에서 맞춰요.
환자의 체격, 질병 상태에 따라 조절합니다.
https://ggidalsoo.tistory.com/284
📊BiPAP(이중 기도양압기)**에서 사용되는 대표적인 작동 모드
**BiPAP(이중 기도양압기)**는 환자의 호흡 상태에 따라 다양한 작동 모드를 사용할 수 있어요.각 모드는 환자의 자발 호흡 능력, 호흡의 규칙성, 치료 목적에 따라 선택되며,특히 만성 호흡부전,
ggidalsoo.tistory.com
https://ggidalsoo.tistory.com/283
산소 공급의 기본! CPAP와 BiPAP의 차이점. IPAP, EPAP의 뜻.
🌀 CPAP와 BiPAP의 차이점 쉽게 정리 구분 CPAP BiPAP 용어 의미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Bi-level Positive Airway Pressure압력 방식들숨과 날숨 모두 일정한 압력들숨과 날숨에 서로 다른 압력 제공들숨 압
ggidalsoo.tistory.com
https://ggidalsoo.tistory.com/281
💉 판토라인주: 위장관 질환 치료를 위한 주사제
안녕하세요! 😊 오늘은 판토라인주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이 글에서는 판토라인주의 사용 질환, 증상, 성분, 작용 원리, 부작용, 효능, 가격, 투여법, 투여 기간, 내성 여부, 주의사항,
ggidalsoo.tistory.com
https://ggidalsoo.tistory.com/282
✅ NIV 마스크란? 기관 삽관 없이 호흡을 돕는 비침습적 인공호흡기 이해하기
😷 NIV-mask란? 기관 삽관 없이 호흡을 돕는 마스크NIV-mask는 비침습적 인공호흡(Non-Invasive Ventilation, NIV)을 할 때 사용하는 특수 마스크입니다.이 마스크는 환자의 입과 코에 밀착시켜 기관 삽관 없
ggidalsoo.tistory.com
https://ggidalsoo.tistory.com/280
💊 헤르벤정: 협심증과 고혈압 치료제의 모든 것
💊 헤르벤정: 협심증과 고혈압 치료제의 모든 것1. 어떤 질병에 사용되나요?헤르벤정은 다음과 같은 질환의 치료에 사용됩니다:협심증: 심장 근육에 혈액 공급이 부족하여 가슴 통증이 발생하
ggidalsoo.tistory.com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PFO Closure란? 뇌졸중 막는 심장 시술, 원인 없는 뇌졸중? (0) | 2025.04.09 |
---|---|
"척추 협착증 수술 MIS ULBD란? 요추관협착증 수술 의미와 방법 그리고 장점까지! (1) | 2025.04.09 |
📊BiPAP(이중 기도양압기)**에서 사용되는 대표적인 작동 모드 (1) | 2025.04.08 |
📌 경관 영양(비위관, L-tube, PEG 등) 제품별 특징 및 차이점 (1) | 2025.04.03 |
갑자기 빙글빙글? 심한 어지럼증의 원인 이석증! 이석증 치료법과 특징! (0) | 2025.03.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