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메라 화질 모드? NEF(RAW)? JPEG? HEIF? 전자식 뷰파인더(EVF)란?
🔹 화질 모드 설명
카메라는 촬영한 사진을 RAW, JPEG, HEIF 같은 파일 형식으로 저장할 수 있어요.
각각 장단점이 있으니 간단히 정리하면:
📷 1. NEF(RAW) (니콘의 RAW 포맷)
- 무손실 압축: 원본 데이터를 거의 그대로 유지하지만 용량이 큼
- 고효율★, 고효율: 용량을 줄이면서도 높은 품질을 유지하는 방식
RAW 특징 ✅ 장점: 후보정(색감 조정, 노출 보정) 자유도 높음, 최대 화질 유지
❌ 단점: 파일 크기가 큼, 편집하려면 전용 프로그램 필요 (Lightroom, Photoshop 등)
추천 대상: 후보정이 중요한 경우, 최대 화질을 원할 때
🖼 2. JPEG (일반적인 사진 파일)
- FINE(1/4), NORMAL(1/8), BASIC(1/16): 압축률을 뜻함 (FINE이 가장 고화질)
- 사이즈 우선: 파일 크기를 줄이는 방향
- 화질 우선: 화질을 최대한 유지하는 방향
JPEG 특징 ✅ 장점: 파일 크기 작음, 호환성이 좋음, 바로 공유 가능
❌ 단점: 압축 과정에서 화질이 손실됨, 후보정 자유도 낮음
추천 대상: 빠르게 공유할 사진, 후보정이 필요 없는 경우
🏞 3. HEIF (고효율 이미지 포맷)
- JPEG보다 높은 압축 효율 (같은 화질에서 용량이 더 작음)
- Apple과 최신 기기에서 지원하는 포맷
✅ 장점: JPEG보다 화질이 좋거나 같은데 용량이 작음
❌ 단점: 호환성이 아직 부족함 (일부 프로그램에서 지원 안 함)
추천 대상: 용량을 줄이면서도 고화질을 원할 때, 최신 기기 사용 시
🔄 4. NEF(RAW) + JPEG / NEF(RAW) + HEIF
RAW와 JPEG(또는 HEIF)를 동시에 저장하는 기능
추천 대상: RAW로 후보정할 예정이지만, 즉시 확인/공유할 JPEG도 필요한 경우
🔥 그럼 어떤 화질 모드를 선택해야 할까?
✅ (1) 후보정을 할 계획이 있다면?
- NEF(RAW) 무손실 압축 → 최대 화질 확보 후 후보정
- 추가로 빠른 확인용으로 RAW + JPEG (NORMAL 또는 FINE) 설정 가능
✅ (2) 후보정 없이 바로 사용할 거라면?
- JPEG (FINE, 화질 우선) → 최대한 좋은 품질로 저장
- 용량이 부담되면 JPEG (NORMAL) 선택
✅ (3) 용량 절약하면서 고화질을 원한다면?
- HEIF (FINE, 화질 우선) → JPEG보다 효율적
✅ (4) 블로그, SNS, 웹 업로드용이라면?
- JPEG (NORMAL 또는 BASIC, 사이즈 우선) → 용량 절약
📌 정리하면
- 풍경 사진을 후보정할 거면 → NEF(RAW) 무손실 압축
- 그냥 찍고 바로 사용할 거면 → JPEG FINE (화질 우선)
- 저장 공간이 부족하다면 → HEIF (FINE, 화질 우선)
- RAW로 보정하면서도 미리보기용 JPEG도 필요하면 → RAW + JPEG (NORMAL)
👉 본인의 촬영 스타일과 후작업 계획에 맞춰 선택하면 돼! 😊
🔹 전자식 뷰파인더(EVF)란?
➡️ 카메라 센서가 촬영하는 장면을 디지털 화면으로 표시하는 방식
✔ 니콘 카메라의 EVF 특징
- 1.27cm(0.5인치) OLED 패널 사용 → 작은 디스플레이 화면이 내장됨
- Quad-VGA 해상도, 약 369만 도트 → 화면이 선명하고 디테일이 뛰어남
- 밝기 조절 가능(자동, 수동 13단계) → 환경에 따라 밝기 조절 가능
- 컬러 커스터마이징 가능 → 색감을 사용자 취향에 맞게 조정 가능
👉 쉽게 말하면?
EVF는 작은 OLED 화면을 통해 촬영 장면을 보여주는 방식이야. 미러리스 카메라에서 주로 사용됨!
🔥 그럼 전자식(EVF) 말고 다른 파인더는?
파인더에는 크게 광학식(OVF)과 전자식(EVF)이 있어.
파인더 종류 | 특징 | 장점 | 단점 |
광학식 파인더(OVF) | 실제 장면을 거울과 프리즘을 통해 보여줌 (DSLR에서 사용) | 지연 없음, 자연스러운 시야 | 촬영 설정 반영 안 됨 (노출, 색감 등) |
전자식 파인더(EVF) | 카메라 센서가 촬영하는 장면을 작은 화면(OLED 등)으로 보여줌 | 촬영 설정(노출, 화이트 밸런스 등) 미리 확인 가능 | 약간의 지연 가능, 배터리 소모 높음 |
✔ 광학식 파인더(OVF) → DSLR에서 사용
✔ 전자식 파인더(EVF) → 미러리스 카메라에서 사용
📷 어떤 파인더가 더 좋을까?
✅ 광학식(OVF) → 전통적인 DSLR 느낌, 지연 없는 자연스러운 시야
✅ 전자식(EVF) → 촬영 결과를 미리 보면서 조정 가능, 저조도에서도 유리
https://ggidalsoo.tistory.com/124
기록 화소수(이미지 해상도)란? 이미지 영역이란? FX(36×24)?
이 숫자들은 카메라가 사진을 저장할 때 사용할 수 있는 해상도와 비율(이미지 영역)을 나타낸 것이야.📌 기록 화소수(이미지 해상도)란?📷 사진을 찍을 때 설정할 수 있는 이미지 크기(픽셀 수
ggidalsoo.tistory.com
https://ggidalsoo.tistory.com/123
바디 손떨림 보정? 렌즈 손떨림 보정? 렌즈 시프트 방식? 이미지 센서 시프트 방식 5축 보정?
손떨림 보정(Image Stabilization, IS)은 카메라나 렌즈가 흔들려도 사진이 흐려지지 않도록 보정해 주는 기능이야. 특히 느린 셔터 속도로 촬영할 때 효과적이지.📌 바디 손떨림 보정 vs. 렌즈 손떨림
ggidalsoo.tistory.com
https://ggidalsoo.tistory.com/122
렌즈 교환식 디지털 카메라? 니콘 Z 마운트? 화소수? 촬상소자(CMOS 센서)란?
렌즈 교환식 디지털 카메라?렌즈 교환식 디지털 카메라(Interchangeable Lens Camera, ILC)는 말 그대로 렌즈를 교환할 수 있는 카메라를 말해. 대표적으로 DSLR(Digital Single-Lens Reflex) 카메라와 미러리스(Mirr
ggidalsoo.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