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부

뇌경색 환자 24hr 심전도 검사하는 holter monitor 시행 이유

by ggidalsoo(찌달수) 2025. 2. 23.
728x90
반응형

 뇌경색 증상이 발생하여 응급실을 방문하면 경색이 발생한원인을 찾기 위해 시행하는 검사들이 있습니다.

 그중 24시간 동안 몸에 전극을 붙이고 작은 기계를 맨채 생활해야하는 holter 모니터에 대해 아시나요?

 

홀터 모니터란? 뇌경색 환자에게 필요한 이유

 홀터 모니터(Holter Monitor)는 24시간 또는 그 이상 동안 심장의 전기 신호(심전도, ECG)를 연속적으로 기록하는 검사 장비입니다. 일반적인 심전도(EKG)는 짧은 시간 동안만 측정되기 때문에, **일시적으로 발생하는 부정맥(심장 리듬 이상)**을 놓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홀터 모니터는 오랜 시간 동안 심장 박동을 지속적으로 기록하여 부정맥을 보다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뇌경색 환자에게 홀터 모니터를 시행하는 이유

 뇌경색(허혈성 뇌졸중)은 뇌혈관이 막혀 뇌로 가는 혈류가 차단되는 질환입니다. 그중에서도 cardiogenic embolism은 심장에서 생성된 혈전이 뇌혈관으로 이동해 발생하는 뇌경색으로, 전체 허혈성 뇌졸중의 약 20~30%를 차지합니다. 주요 원인이 되는 부정맥은 '심방세동'입니다.

 심방세동은 심방이 불규칙하게 뛰는 부정맥으로, 심장 내 혈전을 유발하여 뇌경색의 위험을 높입니다. 하지만 일회성의 심전도 검사로는 발견하기 힘듭니다. 이는 발작성 심방세동(일시적으로 발생했다가 사라지는 형태)이 많습니다. 따라서 휴식, 식사 등 일상생활 활동 중 발견하기 위해 홀터 모니터를 착용하고 있어야 합니다.

  1. 심방세동(Atrial Fibrillation) 탐지
    • 심방세동이 발견되면 항응고제(와파린, NOAC 등) 치료를 고려하여 뇌경색 재발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2. 기타 부정맥 확인
    • 조기 심실수축(PVC), 서맥(심박수 저하), 빈맥(심박수 증가) 등도 평가 가능
  3. 실신, 어지럼증 등의 원인 분석
    • 부정맥으로 인해 혈류 공급이 원활하지 않을 경우, 뇌경색 환자가 경험하는 어지럼증이나 실신 증상을 설명할 수 있음

결론

홀터 모니터 검사는 뇌경색의 원인을 정확히 파악하고, 적절한 치료 방향을 결정하는 중요한 검사입니다. 특히 심방세동을 조기에 발견하면 항응고제 치료로 뇌경색 재발 위험을 줄일 수 있어 필수적인 검사라고 할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