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 요석(소변 속 미네랄 침전물, 결석)
- 원인:
- 소변이 농축되면서 칼슘, 옥살산, 인산염 등이 침전하여 발생
- 장기간 카테터 사용 시 요로 감염이 있으면 침전물 형성이 증가
**** 단백질 또는 점액(mucus) 찌꺼기
- 원인:
- 방광이나 요도의 자극으로 인해 점액(점액성 단백질)이 증가
- 요로 감염(UTI) 또는 방광염이 있을 때 점액 분비가 많아짐
**** 혈액 찌꺼기(혈전, 혈액 성분)
- 원인:
- 카테터 삽입 시 요도 점막이 손상되었거나 출혈이 발생한 경우
- 신장 질환 또는 방광 내 출혈이 있는 경우
**** 박테리아 및 바이오필름(biofilm, 세균막)
- 원인:
- 소변줄 표면에 세균이 달라붙어 형성된 생물막(세균+점액)
- 장기간 카테터 유지 시 감염 위험 증가
**** 소변 속 결정(침전물, 소변 찌꺼기)
- 원인:
- pH 변화로 인한 결정 형성(알칼리성 소변일 경우 요석 증가)
- 수분 섭취 부족으로 소변이 농축되었을 때 침전물이 많아짐
2. 소변줄 찌꺼기 예방 방법
🔹 충분한 수분 섭취 → 요석 및 침전물 감소
🔹 정기적인 소변줄 교체 → 세균 및 바이오필름 형성 방지
🔹 소변 산성화 유지(pH 조절) → 감염 예방 (필요 시 의사와 상담하여 크랜베리 주스, 비타민 C 등 섭취)
🔹 소변줄 및 소변백 위생 관리 → 감염 및 찌꺼기 축적 방지
대한비뇨의학회(Korean Urological Association, KUA) – 요로 감염 및 도뇨관 관리 관련 지침
🔹 미국질병통제예방센터(CDC,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 "Guideline for Prevention of Catheter-Associated Urinary Tract Infections (CAUTI)"
🔹 세계보건기구(WHO, World Health Organization) – 감염 예방 및 도뇨관 관리 가이드라인
🔹 UpToDate – Foley catheter 사용 및 관리 관련 최신 의료 자료
🔹 국내 병원(서울아산병원, 삼성서울병원 등)의 의료 가이드
728x90
반응형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뇌경색 초기 치료! r-tPA 투여 가능 시간과 금기 사항, r-tPA 효과, 사용 조건, 주의 사항 (0) | 2025.02.23 |
---|---|
뇌경색 환자 24hr 심전도 검사하는 holter monitor 시행 이유 (0) | 2025.02.23 |
소변줄(foley catheter) 삽입 이유(목적), 교체 이유, 주기 (0) | 2025.02.21 |
항암 치료 중 갑자기 열나는 이유? (0) | 2025.02.20 |
누워있을 때는 괜찮은데 일어났을 때 두통 생긴다면? 기립성 두통(orthostatic headache) 증상, 원인, 치료 (0) | 2025.02.13 |